뷰 생성
/* 문법 */ CREATE [OR REPLACE] VIEW view_name AS select_statement CREATE VIEW view_name AS select_statement /* 파라미터 */ view_name -- 생성할 뷰 이름 select_statement -- SELECT 명령 | cs |
『뷰』는 SELECT문을 실행한 결과를 테이블과 같은 방법으로 취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,
디스크 공간은 거의 필요없다. 다음과 같은 『CREATE VIEW』명령으로 v_foo를 생성했다고 가정하자.
/* 사용 예 */ CREATE VIEW v_foo AS SELECT a, b FROM foo | cs |
생성된 v_foo 의 열에 대한 정보는 AS 뒤에 기술된 SELECT문에 의존한다.
위의 예에서는 a와 b라고 하는 2개의 열이 결과로 얻어지기 떄문에 v_foo의 열도 a와 b가 된다.
생성한 v_foo는 테이블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.
예를 들면 『SELECT * FROM v_foo』로 뷰에서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뷰의 열 이름은 SELECT 명령과 같으나, 뷰 이름 다음에 열 이름을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.
/* 사용 예 */ CREATE VIEW v_foo (viewcolumn1, viewcolumn2) AS SELECT foo_a, bar, b FROM foo, bar WHERE foo.a = bar.a | cs |
◐스키마(Schema)란?
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조직이나 구조를 의미한다.
데이터모델링은 결국 하나의 스키마에 이른다(스키마의 복수형은 그리스어로부터 온 단어로,
'형상(form)'이나 '꼴(figure)'을 의미하는 'schemata'이며, 같은 원류에서 온 다른 단어로는 '개략도'를
의미하는 'schematic'이 있다).
이 용어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나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모두에 적용된다.
수확해서 유래된 또 다른 용례로, 스키마는 인공지능 컴퓨팅을 위한 추론 규칙의 형식적 표현을
말한다. 이 표현은 특정한 추론을 끌어내기 위한 공리 내의 각 기호를 대용하는 특정한 값이나
경우들의 일반화된 원리이다.
'커맨드 명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3.9 CREATE PROCEDURE [SQL Server] (0) | 2018.11.12 |
---|---|
2.3.8 DROP VIEW (0) | 2018.11.11 |
2.3.6 DROP INDEX (0) | 2018.11.10 |
2.3.5 CREATE INDEX (0) | 2018.11.10 |
2.3.4 TRUNCATE TABLE (0) | 2018.11.10 |